뉴스레터 발행자 프로필 이미지
Daily_Byte
23.08.03

🌪️ 높아진 변동성, 근데 변동성이 뭐야?

뉴스레터 썸네일 이미지

지난달 26일, 코스닥 시장에서는 여러 차례 사이렌이 울렸습니다. 이차전지(전기차 배터리) 관련주의 가격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변동성 완화 장치(VI)가 수백 번이나 발동한 것인데요. 뉴스 기사와 증권사 리포트에서는 주식 시장의 변동성 확대를 경고하는 내용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이렇듯 최근 주식 시장은 높은 변동성이 계속 유지되는데요. 변동성이란 정확하게 무엇인지, 그리고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서 어떤 투자 전략을 가져갈 수 있을지 알아봤습니다.


변동성(Volatility)이란?

주식 시장에서 변동성이란 특정 기간 주가가 얼마나 오르락내리락했는지를 의미합니다. 정해진 기간 동안 가격이 급격하게 오르거나 내렸다면 변동성이 높은 것이고, 가격 등락폭이 작다면 변동성이 낮은 것이죠. 


🤔 변동성은 왜 바뀌나: 변동성이 시시각각 바뀌는 이유는 정말 많은데요. 먼저 국가 전체의 정책 변동이나 경제 상황 변화 등 거시경제 환경의 변수가 있습니다. 또한 산업이나 업종의 환경이 바뀌면서 주가가 급격히 움직일 수 있죠. 마지막으로 특정 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거나 부진하면서 변동성을 높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변동성은 거품을 줄인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높으면 주식 시장에는 걱정과 우려가 늘어납니다. 이는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는데요. 그러나 변동성은 주식 시장에 더 큰 거품이 끼기 전에, 투자자들에게 경고를 보내 거품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미리 불안감을 줘 패닉 바잉, 패닉 셀을 방지하는 거죠.


😱 패닉 바잉, 패닉 셀이란?

가격 추가 상승에 대한 불안감에 주식을 마구 사들이는 것을 패닉 바잉, 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감에 주식을 마구 파는 것을 패닉 셀이라고 부릅니다. 


지금 변동성이 높은 이유?

요즘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 변동성이 높은 이유는 경제적인 이슈, 그리고 코스닥 시장의 특징을 살펴봐야 합니다. 현재 미국과 우리나라 모두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고, 최근에는 이차전지주가 몰려 있는 코스닥 시장에서 주가 급등, 급락이 발생하며 변동성이 높아졌죠.


🇺🇸 미국 금리 인상의 방향은?: 많은 사람들이 조만간 금리 인상이 종료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대가 무색하게도 미국 연준(Fed)은 금리를 0.25%P 인상했는데요. 금리 인상이 끝나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확하게 끝나는 시점은 그 누구도 예상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 불확실성은 변동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죠.


🇰🇷 우리나라 금리도 몰라: 어쨌든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이는 역대급으로 벌어지게 됐고, 이제는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릴지 그대로 유지할지 누구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앞으로 미국이 금리를 유지한다면 한국은행도 금리를 유지해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것인지 확신이 없는 지금, 한국은행도 고민이 많습니다. 금리의 향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시장의 불확실성(=변동성)이 굉장히 높은 상황입니다. 


🔋 혼돈 속의 이차전지주: 요즘 이차전지주가 많은 투자자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가가 빠르게 오르면서 코스닥 시총의 20%를 이차전지 관련주가 차지하게 됐고, 하루 거래량의 절반이 이차전지 관련주일 정도였죠. 이차전지 관련주로 극도의 쏠림 현상이 일어났는데, 문제는 주가가 기업의 실적 같은 펀더멘탈 때문에 움직인 것이 아니라 단순 수요와 공급에 의해 움직였다는 것입니다. 투자 수요나 공급은 기업의 펀더멘탈보다 급격히 바뀝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요나 공급에 의해 주가가 움직이는 경우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높습니다. 


🌀 변동성을 높이는 FOMO: 이차전지주에 너도나도 투자하면서 기회를 놓칠까 두려워 투자에 뛰어드는 FOMO(Fear Of Missing Out) 현상이 두드러지기도 했습니다. 기업을 밸류에이션이나 펀더멘탈보다는 두려움에 근거한 투자 수요가 늘어나자, 조만간 주가가 하락하겠다고 생각해 이차전지주를 공매도하는 세력도 덩달아 많아졌는데요. FOMO로 인한 투자와 공매도 세력이 공존하면서 필연적으로 변동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변동성이 높을 때 투자하기

요즘처럼 변동성이 높은 시기에는 평소보다 조금 더 조심스럽게 투자에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주가가 하락해 손실을 볼 때 그 규모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인데요. 변동성이 높을 때 구사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이고,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변동성이 높은 원인 파악하기: 먼저 변동성이 높은 이유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시점을 예상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를 예측하기 어려워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면, 언제쯤 금리에 대해 예측이 가능할지 생각해 보고 투자 전략을 구상합니다. 변동성이 높은 장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대략적으로나마 예상할 수 있다면 투자 전략을 세우기 쉬워집니다. 


😴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도 방법: 변동성이 높을 때는 당장 별다른 행동을 하지 않는 것도 좋은 투자 방법입니다. 변동성이 높을 때는 단타 매매를 주의해야 하는데요. 급하게 주식을 사거나 팔면 급격한 주가 변동으로 손실을 내거나, 큰 이익을 낼 기회를 놓치기 쉽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보면 주식 시장은 우상향 그래프를 그립니다. 따라서 당장 변동성 장세에서는 매매를 줄이는 것이 오히려 안전한 투자 방법일 수 있습니다. 


💰 주요 투자자들의 심리 파악하기: 변동성이 높을 때는 옵션을 매매하는 기관투자자나 큰손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잘 파악하면 투자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요 투자자들이 옵션을 사들이는 포지션인 롱(Long) 포지션을 잡고 있다면, 주식을 사들이는 것이 좋은 판단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투자자들이 옵션을 사들인다는 것은 앞으로 변동성이 내려갈 것이라고 기대한다는 뜻인데요. 이 기대감이 들어맞는다면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다른 투자자들이 다음으로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