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충전소 관련주 V2] 북미는 바야흐로 테슬라 제국

(출처: 연합뉴스)
북미는 바야흐로 테슬라 제국
지난 번 인사이트를 통해 전기차충전소 관련주를 소개시켜드렸죠?
[대영채비] 를 소개하면서 [휴맥스홀딩스] 라는 기업에 대해 설명해드렸는데요,
오늘은 테슬라의 전기차충전기인 '슈퍼차저'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테슬라가 미국 기업이라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히 알고 계시겠죠?
현대차가 국내기업이기에 국내 시장을 꽉 잡고 있는 것처럼, 테슬라도 미국 기업이기에 다른 국가들에서보다 미국에서 훨씬 더 강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어떤 나라인가요? 예로부터 자동차 관련해서 독일과 쌍벽을 이룰만큼 큰 시장입니다.
포드, 캐딜락 등과 같은 잘나가는 미국 브랜드들고 있지만, 시장 자체가 워낙 크다보니 전 세계의 자동차 브랜드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시장이죠.
그런 미국 시장에서 테슬라가 전기차 차량뿐만 아니라 충전기 시장도 발 빠르게 잡아먹고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과 충전소 시장을 다 잡아먹으면... 테슬라 제국이 완성되는 것이죠!
자동차 회사들이 다 테슬라를 따라가
불과 얼마 전, 글로벌 완성차 기업인 GM과 포드가 테슬라의 슈퍼차저 시스템인 'NACS'에 합류 했다는 소식이 전해 졌습니다.
쉽게 말하면 테슬라의 슈퍼차저 충전 시스템을 채택하겠다는 건데요, 자사의 전기차를 충전하는 타입과 규격을 테슬라 슈퍼차저에 맞게 세팅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휴대폰을 충전할 때, C타입 충전기와 썬더볼트 충전기가 있죠? C타입 충전기는 C타입 단자를 지원하는 기기들만 충전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GM과 포드에서 만드는 전기차의 충전 단자는 테슬라 슈퍼차저 충전기와 딱 맞는 단자를 사용하겠다는 겁니다.
지난 번에 설명드린것처럼,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전기차 충전소 시장의 성장이 불가분의 관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완성차 기업들이 자신들이 직접 충전소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테슬라의 슈퍼차저 시스템을 사용하겠다는 결정을 내리는 것은
충전소 시장에서의 사업과 성과를 포기하겠다는 것과 맞먹을 만큼 크고 중대한 결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AFP통신)
이러한 결정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이유는 테슬라 슈퍼차저가 사용하는 방식이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식과 다르다는 점입니다.
전기차 충전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합동충전시스템'(CCS)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테슬라의 슈퍼차저는 테슬라가 직접 만든 자체 규격인 'NACS'를 사용하고 있거든요. 삼성, LG, SK 등 다양한 기업들이 내어 놓는 전자제품들이 모두 C타입 단자를 사용하지만 애플 나홀로 썬더볼트를 쓰고 있는 것과 동일한 맥락이죠.
(출처: 스텔란티스 홈페이지)
그런데, 문제는 GM과 포드 뿐만 아니라 굵직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하나 둘 테슬라의 슈퍼차저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세계 4위 완성차 업체인 '스텔란티스'도 조만간 테슬라 슈퍼차저 동맹에 합류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는데요,
'스텔란티스'는 알파로메오, 크라이슬러, 시트로엥 등 다양한 자동차 브랜드들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에요.
이렇게 완성차 업체들이 너도 나도 테슬라의 슈퍼차저 규격을 채택하기 시작하니 미국의 충전소 기업들도 대세를 따라가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어요.
미국 전기차 충전소 제조업체인 블링크차징, 차지포인트 그리고 호주에 기반을 둔 트리티움 등도 자사의 전기차 충전소에 NACS 연결 포트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슈퍼차저는 왜 이렇게 인기가 많아?
완성차 뿐만 아니라 충전소 업체들까지 통틀어서 관련 업계 전체가 이렇게 슈퍼차저 동맹에 합류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하나입니다.
미국 내 전기차의 주류가 테슬라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출처: 콕스오토모티브)
올해 1분기 기준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점유율은 무려 60%를 넘었습니다. 테슬라 슈퍼차저로 충전 방식을 차용하기로 한 GM과 포드의 점유율 까지 합치면 무려 70%가 넘습니다. GM과 포드까지 합류한 테슬라 슈퍼차저의 전기차 충전소 시장 점유율은 60%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북미 시장이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는만큼, 충전소 시장을 슈퍼차저 생태계가 차지하게 되는 것은 국내 기업들에게도 큰 위기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사실 위기라기 보다는, 국내 충전소 기업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합동충전시스템'과 함께 테슬라 슈퍼차저의 NACS 시스템도 함께 도입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죠. 그렇지 않으면 미국 시장에서 살아남기가 힘들테니까요.
미국 각지에 있는 충전소가 죄~다 슈퍼차저이고, 미국에서 굴러다니는 차들도 죄~다 슈퍼차저 타입의 충전포트를 갖고 있는데
우리나라 기업의 충전소만 다른 타입을 지원하면 아무도 쓰지 않을 것은 불보듯 뻔하니까요.
우리나라에도 테슬라 슈퍼차저 시스템을 발 빠르게 도입하는 기업들이 있다고!
그렇다고 너무 걱정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미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니까요.
특히 SK 그룹의 'SK시그넷'이 가장 공격적이고 민첩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SK시그넷. SK시그넷 충전기 V2 이미지)
SK시그넷은 이달 초, 미국 텍사스에서 이미 전기차충전소 생산 공장 준공식을 열었고 다음 달부터 초급속 충전기 제품 양산을 시작합니다.
보도에 따르면 SK시그넷의 텍사스 공장에서는 연간 총 1만기의 초급속 충전기 생산이 가능하다고 해요.
당장 올해부터 미국 내 전기차 충전소 시장 경쟁에 뛰어들 준비가 되어있는 SK시그넷은 슈퍼차저 동맹이 강화되는 시류를 파악하고,
테슬라 슈퍼차저 충전 방식인 NACS를 적용한 제품을 올해 안에 출시 하겠다는 계획을 내어 놓았습니다.
이렇게 빠르게 개발 및 양산이 가능한 이유는 다음 달부터 양산에 돌입할 SK시그넷의 충전기에 들어가는 통신 및 제어 방식이 테슬라의 NACS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SK시그넷은 현재 북미 급속충전소 사업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만큼, SK시그넷이 테슬라 슈퍼차저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훨씬 더 경쟁력이 강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요.
그럼 SK시그넷 주식을 사야하나?!
SK시그넷이 이렇게 성장 전망이 좋다면, SK시그넷 주식에 투자하면 마음이 편할텐데 늘 그렇듯 SK시그넷은 비상장사이죠.
하지만 SK 그룹의 지배구조를 보면 좋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눈 크게 뜨고 집중!
SK 그룹의 전기차 급속 충전소 사업의 생태계를 살펴보면요,
급속 충전기 제조 = SK시그넷
급속 충전기 운영 = SK일렉링크
급속 충전기 관리감독 = SK일렉링크
(출처: 더 벨)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SK시그넷에서 급속 충전기를 제조하면 SK일렉링크에서 납품받아 운영하고 관리감독하는 구조입니다.
즉, SK시그넷의 급속 충전소가 테슬라 슈퍼차저 체계를 도입해 경쟁력이 더 강화되고 점유율이 높아지면 이는 곳 SK일렉링크의 실적에도 반영이 되는 것이죠.
그런데 SK일렉링크도 SK시그넷과 마찬가지로 비상장사이죠.
(출처: 에스트래픽)
하지만, SK일렉링크의 지분을 갖고 보유하고 있는 상장사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에스트래픽] 입니다.
(출처: 전자공시시스템. 에스트래픽 타법인출자 현황)
[에스트래픽] 은 SK일렉링크에 약 16.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전기차충전소 기업입니다.
[에스트래픽] 은 그 자체로도 전기차 충전소 사업을 펼치고 있으면서 동시에 SK일렉링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죠.
지분구조만 놓고 봐도 SK일렉링크의 사업실적이 향상되면 [에스트래픽] 의 지분가치도 상승하게 되는 상황이고, 동시에 [에스트래픽] 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전기차 충전소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니 긍정적인 모멘텀을 여러개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지난 번 대영채비와 [휴맥스홀딩스] 의 관계처럼 [에스트래픽] 과 SK시그넷, 그리고 SK일렉링크의 관계도 비슷한 성향을 띄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기차 충전소 시장의 성장과 함께 북미에서 테슬라 슈퍼차저의 영향력은 얼마나 커지게 될까요?
그리고 과연 SK시그넷, SK일렉링크와 사업 및 지분관계로 엮여있는 [에스트래픽] 의 주가는 어떻게 될까요?
*본 글은 투자 추천글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