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발행자 프로필 이미지
너겟
23.06.08

미·중 편 가르기 (ver. 대만)

뉴스레터 썸네일 이미지

대왕 너겟


📌 너가 GET 해야 하는 이유

미국과 중국은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나라예요. 두 나라의 움직임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도 자세를 다르게 고쳐잡아야 하는데요. 시시각각 변하는 두 나라의 눈치 싸움을 알아둬야 해요.



요즘 세계에서 ‘미국 vs 중국’ 편 가르기가 점점 심해지고 있어요. 여러 나라들이 “어느 편에 서야 하는 거야 😥”라며 눈치를 보고 있는데요. 그러던 와중 대만이 미국 편으로 한 걸음 바짝 붙었어요: “나는 미국 편이야!” 


그게 무슨 말이야?

대만이 미국과 역사상 처음으로 무역협정을 체결했어요. 두 나라는 1979년 미국과 중국이 맺은 약속으로 교류가 딱 끊긴 뒤 비공식적으로만 무역 친구 사이를 이어왔는데요. 44년 만에 공식적으로 서로 친구 사이를 인정한 거예요.

  • 이는 미국이 지난해부터 그리던 큰 그림이에요: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려고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라는 모임을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대만을 끼워줄 수 없었어요. 중국이 “안 돼!”라며 막았기 때문. 대신 대만과 따로 경제 협력을 이야기했는데, 그 결과가 바로 이번 무역협정이에요. 


중국이 미국-대만 사이를 경계하는 이유는 뭐야?

중국은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을 주장해요. 대만·홍콩·마카오 등이 중국과 나뉠 수 없다고 보는 거예요. 이들을 모두 합친, 오직 하나의 중국만 존재한다고 생각하죠. 이에 대만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지 않아요.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은 나라에 공식적으로 대만과는 외교 관계를 끊으라고 요구하기도 하고요. 그런데 웬걸 대만이 요즘 중국과 가장 사이가 안 좋은 나라인 미국과 딱 붙었으니,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는 거예요. 


이번에도 가만있지 않았겠네?

맞아요. 이번에도 중국은 “당장 멈춰!”라며 크게 반발했어요. 특히 미국이 약속을 어겼다는 걸 강조하면서요. 과거 미국은 대만과 공식 협정을 체결하지 않기로 했는데요(예: 수교 성명 등 3대 공동성명). 이번 협정은 이에 어긋난다는 거예요.


둘은 어떤 이야기를 나눴어?

미국 기업이 더 빨리 대만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손을 잡기로 했어요. 그동안 미국 기업이 대만에 진출하려면 깐깐한 관세 절차를 거쳐야 했는데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게 이를 느슨하게 풀겠다는 거예요.


앞으로 어떻게 될까?

대만은 무역협정을 시작으로 앞으로 미국과의 관계는 더 발전시키고, 중국과는 멀어지려고 해요

  • 미국과는 FTA까지 쭉 🔜: 이번에는 미국과 관세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까지 얘기하지 않았는데요. 앞으로는 이것도 가능한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할 계획이에요. 그러면 지금보다 미국과 더 가까이 지낼 수 있고요. 
  • 중국과는 멀어질 때 👋: 반대로 중국과는 멀어지려고 해요. 대만의 무역 비중에서 중국의 입김을 줄일 계획이래요. 대만은 전체 수출의 4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FTA로 미국에 대만 물건을 많이 수출하면, 중국에 덜 기댈 수 있을 거라고 봐요.



📌 이슈와 콕 붙어 있는 종목

앞으로 대만을 가운데 두고 미국과 중국의 눈치 싸움에서 살펴볼 기업을 살펴보면


  • TSMC: 대만을 대표하는 반도체 기업이에요. 글로벌 반도체 시장도 꽉 잡고 있어서, 앞으로 대만이 미국과 더 친해지려고 할 때 반도체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나올 것 같다는 얘기가 나와요.
  • 현대비앤지스틸, 유니온: 이에 맞서 중국이 꺼낼 수 있는 건 전기차 배터리를 만들 때 꼭 필요한 광물을 내주지 않는 거예요. 희토류가 대표적인데요. 희토류와 관련된 기업도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해질 때마다 꿈틀해요.


구체적으로 FTA를 맺으면 이와 관련된 기업들도 수혜를 입을 거라고.



한입 너겟


미끄러진 배터리업계 🔋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쌩쌩 달리던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들이 잠깐 주춤했어요. 점유율 2등이었던 LG에너지솔루션이 3등으로, 삼성SDI가 6등에서 7등으로 한 단계 내려갔어요. 

  • GET 📌: 그 자리에 올라선 건 중국 배터리 기업(예: BYD·CALB). 중국 전기차 기업들이 자기 나라 기업의 배터리를 잔뜩 사준 덕을 본 거예요.


이통 3사: 청년 놓치지 않을 거예요 😭

이동통신 3사(SKT·KT·LGU+)가 청년 전용 5G 요금제를 내놨어요. 일반 요금제와 가격은 똑같은데 데이터를 최대 2배 많이 주고요. 커피, 영화 등 다양한 할인 혜택도 함께 제공해요.

  • GET 📌: 이통 3사를 해지하고 알뜰폰으로 향하는 청년들을 잡기 위한 전략이에요. 요즘 청년들 사이에서는 자급제 스마트폰을 산 뒤 알뜰폰으로 개통하는 게 공식이거든요.


코스피 다시 상승 시동 ON 📈

코스피가 2,600선까지 뛰어넘고,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5월에만 3.02%가 올랐는데요. 주요 20개국(G20) 중 5번째로 많이 오른 거예요.

  • GET 📌: 코스피 전망을 두고도 말이 많아요. 앞으로 증시가 내릴 거라 보는 사람도 있고요. 최근 주가가 많이 올랐으니, 이를 팔아 이익을 보려는 투자자가 많아질 거라는 것. 반대로 주식을 사려고 계좌에 넣어두는 돈(=예탁금)이 늘어나고 있어, 앞으로도 쭉쭉 오를 거라고 보는 의견도 있어요.


이제 3%대 시대 📉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의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점점 안정을 찾고 있어요.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3%대 금리도 나오기 시작했죠. 이에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이 늘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도 생기고 있어요.

  • GET 📌: 은행들도 돈을 조달해 오는 비용이 줄었고요. 은행들이 이익을 늘리려고 금리를 일부러 낮추지 않는 건 아닌지, 금융당국이 두 눈에 불을 켜고 째려보고 있기 때문이에요.



다른 투자자들이 다음으로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