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민감주 vs 경기방어주, 뭐가 더 좋을까?

제품 가격을 올렸는데도 이번 1분기에 깜짝 실적을 보여준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맥도날드인데요. 가격이 올랐지만, 다른 식당보다는 가성비가 좋았기 때문이죠. 사실 맥도날드는 작년부터 불황에 강한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경기가 나빠져도 값싼 식료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하다는 증거인데요.
이렇게 맥도날드처럼 불황에도 강한 기업의 주식을 경기방어주라고 합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경기민감주라 하죠. 이번 <재테크 한입>에서는 경기민감주와 경기방어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게 뭔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경기 상황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하는 종목이 있고, 경기와 상관없이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이는 종목이 있습니다. 전자가 경기민감주, 후자가 경기방어주인데요. 이 둘의 개념과 특성을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경기민감주: 경기 변화에 민감한 종목을 뜻합니다. 경기순환주라고도 하죠. IT·자동차·건설·원자재·항공·운수·석유화학·조선·반도체 등이 포함되는데요. 잘 알려진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중공업, 현대차 등이 해당합니다.
📍 특징은?: 경기민감주는 경기가 좋을 때 덩달아 가치가 높아집니다. 사람들이 소비를 많이 해 제품 판매량이 늘어나면 실적이 좋아지기 때문인데요. 소비가 늘어난 만큼 날라야 할 제품도 많아지기 때문에 항공·운수 사업도 빛을 봅니다. 반대로 경기가 안 좋을 때는 판매량이 줄고 실적이 나빠지는데요. 당연히 주가도 내려가죠.
🛡 경기방어주: 경기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꾸준히 매출과 이익을 내는 종목입니다. 경기둔감주라고도 하는데요. 전력·가스·철도, 통신 등의 공공재와, 의약품·음식료 등 생활필수품이 해당합니다. 술·담배와 게임도 포함되는데요. 한국전력, SK텔레콤, CJ제일제당 등이 대표적인 경기방어주입니다.
📍 특징은?: 경기방어주는 불경기에 강합니다. 경기가 좋지 않아도 꼭 소비해야 하거나, 소비가 경기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품목이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돈이 없을 때 자동차를 사지는 않지만, 음식은 살 수밖에 없죠. 물론 소비하는 양은 줄어들 수 있지만요. 그래서 불황에도 큰 타격을 입지는 않습니다. 다만 경기가 좋을 때는 경기민감주만큼 주가가 크게 오르지는 않죠.
뭐가 더 나을까?
그렇다면 경기민감주와 방어주 중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요? 둘 다 장단점이 뚜렷해 정답은 없습니다.
1) 경기민감주
👍 장점: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경기에 따라 실적 변동이 큰 만큼, 주가의 변동성도 크기 때문이죠. 또 경기는 장기적으로 보면 성장 곡선을 그립니다. 경기민감주를 오래 가지고 있으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도 큰데요.
👎 단점: 다만 실적과 주가가 크게 널뜁니다. 리턴이 큰 만큼, 큰 리스크를 짊어져야 한다는 말이죠.
2) 경기방어주
👍 장점: 배당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매출과 이익을 꾸준히 만들어 내기 때문에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만합니다. 실제로 페브리즈, 다우니 등으로 유명한 P&G는 '배당왕'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습니다. 무려 60년 넘게 배당을 늘려왔죠.
👎 단점: 안정적인 대신, 큰 매매 차익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경기가 좋을 때도 경기방어주는 큰 이익을 내기는 어렵죠. 사업 자체도 새로운 시장이나 이슈가 잘 발생하지 않는데요. 그래서 짧은 기간에 크게 성장할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
애플(경기민감주, 파란색)과 코카콜라(경기방어주, 노란색)의 최근 5년간 주가 변동 추이 © Google Finance
올해 전망은?
그렇다면 올해는 무엇에 투자해야 할까요? 올해의 시장 전망과 추천되는 투자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혼란한 시장: 올해 시장에는 변수가 많습니다. 우선 금융 위기가 꼽히는데요.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이 미칠 영향이 우려됩니다. 또, 작년 엑셀을 밟았던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언제 늦춰질지도 관건이죠. 마지막으로 중국의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생각보다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도 변수로 지목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 국면에 접어드는 시그널이란 분석도 있는데요.
👍 경기방어주 추천: 시장이 불안한 만큼, 경기방어주를 챙기는 것이 추천됩니다. 물론 요즘 증시에서 핫한 종목은 이차 전지, 인공지능(AI) 등의 신성장 산업이죠. 하지만 대세만을 좇기보다는, 음·식료 등 안전한 경기방어주와 함께 투트랙으로 전략을 짜는 것이 권장됩니다.
👎 경기민감주 비추: 반대로 경기민감주는 위험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경기가 풀리려면 은행 위기와 인플레이션이 안정돼야 하는데요. 워낙 변수가 많아, 내년까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