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피드

유저 프로필
봄은기다려야온다
@namgyoopark4달 전
06/12 한국 증시: 주요 이슈 주목하며 관망 속 종목 장세 전망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MSCI 한국 지수 ETF 1.55%, MSCI 신흥 지수 ETF 0.45%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85.97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7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14% 상승. KOSPI는 소폭 하락 출발 예상. 미 증시가 장 초반 강세에도 불구하고 장 중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분을 반납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특히 지난 금요일 TSMC의 실적 발표로 급등했던 반도체 업종 중심으로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한 때 2% 가까이 강세를 보였던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0.30% 상승으로 마감한 점은 관련 종목 중심으로 차익 매물 출회 가능성을 높임 물론, NDF 달러/원 환율을 감안 달러/원 환율은 1,280원대를 기록하는 등 원화 강세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 최근 원화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경기가 둔화되고는 있지만, 그 폭이 제한되는 모습을 보이는 등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된 점, 그리고 하반기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른 수출 둔화가 축소될 수 있다는 기대감 등에 힘입어 강세폭이 확대. 특히 지난 4,5월 여타 환율에 비해 약세를 보여와 되돌림이 유입된 점도 영향. 이러한 원화 강세는 결국 외국인 수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한국 증시는 차익 실현 매물 출회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소폭 하락 출발 후 미국 물가지수와 FOMC, ECB 통화정책회의 등을 앞두고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매물 소화 과정 진행 전망
7
1
유저 프로필
봄은기다려야온다
@namgyoopark6달 전
04/07 한국 증시: 삼성전자 실적 발표 후 주가 방향성 주목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 MSCI 한국 지수 ETF 1.09% 하락. MSCI 신흥 지수 ETF는 0.41%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15.99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4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31% 상승. KOSPI는 0.3% 내외 상승 출발 예상. 미 증시가 불러드 총재가 금융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있고, 미국 경제가 생각보다 강하다며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하며 나스닥 중심으로 강세를 보인 점은 한국 증시에 우호적. 물론, 여전히 고용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고 있고, 나스닥의 상승도 일부 개별 종목군의 강세에 따른 것일 뿐 대부분의 중소형 종목이 부진한 모습을 보인 점은 부담. 한편, 삼성전자 잠정 실적 발표 이후 시장 변화에도 주목해야 할 듯. 최근 마이크론(+2.91%)이 예상을 하회한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 조정을 발표했음에도 업황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시사하자 오히려 상승했기 때문. 오늘 삼성전자에 대해 시장은 1조원의 영업이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이를 하회할 가능성이 높으나, 업황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부각될 경우 반발 매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결국 한국 증시는 삼성전자 실적 발표 후 주가의 방향성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특히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고 있어 상승이 제한된 가운데 외국인의 수급에 주목해야 할 듯.
19
3
유저 프로필
딴거칠촌
@curtwolf3달 전
어제는 미장이 쉬어서 비트코인부터 봐야겠네요. 비트코인은 하락했습니다. 블랙록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이번에도 현물 ETF 신청을 거부하지 않겠냐는 예상이 나와서 하락세를 탄다고 하네요. 역시 1호 승인은 쉽지 않겠지요. 4,070만 원이 됩니다. 국제 유가는 상승입니다. 이제야 감산의 약효가 돌기 시작하나 봅니다. WTI 기준 71달러로 1.73% 상승하네요. 7/3 고객예탁금은 55조로 6.43% 상승입니... 음? 전고를 돌파했네요? 급등이군요. 신용잔고는 19.3조로 소폭 하락입니다. 둘의 비율을 계산해 보면 35.1%로 아주 흐뭇한 수치가 나왔네요. 원달러 환율은 1,297원으로 조금 하락했네요. 지지선을 찾는 중인가 본데요. 확 무너져 줬으면 좋겠습니다. 어제도 버거 형들은 582억을 매도했습니다. 그래프가 푸르딩딩하며 중간에 약올리는 듯한 작은 매수 봉이 얄밉네요. 기관 형들도 2,983억을 매도합니다. 개인마저 신나게 매수하며 어제는 날이 아니었음을 이야기합니다. 오늘은 미래에셋증권에서 필에너지라는 종목이 청약 시작됩니다. 경쟁률 1800:1, 의무 보유 확약 59%로 아주 훌륭한 성적표를 가지고 왔네요. 잽싸게 청약을 해야겠습니다. 어제는 미장도 쉬었고 뭔가 이슈가 없다면 심심하게 지나가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힘내시죠~
image
14
3
유저 프로필
퀀트첫걸음
@cswcjt5달 전
인포스탁에서 제공하는 미국금리 정보네요 미국금리 마감시황 5월17일(현지시간) 뉴욕채권시장은 美 부채한도 합의 기대감 속 위험 선호 심리 강화 등에 하락 마감. 뉴욕채권시장은 美 부채한도 합의 기대감 속 위험 선호 심리 강화 등에 하락 마감. 부채한도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날 시장에서는 양측이 모두 부채한도 협상 타결을 낙관하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일부 회복되는 모습.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이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가 되지않고 예산에 합의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지도자들은 모두 우리가 디폴트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고 밝힘. 매카시 공화당 하원의장도 부채한도 협상에서 세금 관련 논의는 없을 것으로 "바이든 대통령도 어제 그것을 인정했다"며 "우리가 디폴트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힘.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2.80bp 상승한 3.575%를 기록. 2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8.90bp 상승한 4.156%, 3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1.00bp 상승한 3.882%를 나타냄(美 동부시간 오후 3시기준). 10년물과 2년물 격차는 전거래일 -50.1bp에서 -52.0bp로 마이너스폭이 약간 확대됐음. 미국금리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미국 중앙은행(Fed)은 5월3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4.75~5.00%에서 5.00~5.25%로 25bp 인상했음. 2007년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연준은 이번 성명에서 "충분히 제약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달성하기 위해 약간의 추가적인 정책 강화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라는 가이던스를 삭제했음. 이는 추가 긴축 가능성을 언급한 표현을 삭제한 것으로 이번 금리 인상이 마지막일 가능성을 시사한 것임.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금리인하는 시기상조"라며, "더욱 제약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면 더 많은 일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음. 일반적으로, 금리변동과 주가의 관계는 단기적인 효과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으며, 경기순환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통상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음. 따라서 미국 시장금리의 일일 등락과 증시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은 다소 무리이며, 중장기적인 금리추세와 이에 따른 경기변동에 초점을 맞추어 시장간 연동성을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함. 한편, 금리추세의 큰 흐름이 아닌 Fed 금리정책 방향과 관련된 이슈들은 시장의 단기등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국내증시 역시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 이러한 이슈들은 향후 시장간 금리차 전망에 따른 유동성의 흐름에도 영향을 줌. 미국금리 상관업종-테마-종목 미국 금리인하 수혜주 - 이론상 정책금리 인하는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수반하는 것으로 부동산(특히 건설관련..), 금융주(은행, 증권..), 유통주(백화점, 홈쇼핑..) 등이 혜택을 받는다고 볼 수 있으며, 시장에서도 이 같은 종목군들이 통상 금리인하(경기부양) 수혜주들로 분류되고 있음. 금융주(은행,증권..) - KB금융,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삼성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등 건설관련(건설, 시멘트..) -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HDC현대산업개발, 계룡건설, 쌍용C&E, 성신양회 등 유통주(백화점, 홈쇼핑..) - 신세계, 현대백화점, 대구백화점, 광주신세계, 세이브존I&C, CJ ENM, GS리테일, 인터파크 등 미국 금리인상 관련주 - 미국의 금리인상은 일반적으로 달러화 강세를 뒷받침하게 됨. 따라서 미국의 금리인상은 국내 수출기업들의 입장에서 볼 때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수혜를 입게 되어 미 금리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음. 수출대표주 -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중공업 등
20
7
유저 프로필
봄은기다려야온다
@namgyoopark6달 전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4월 11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나스닥,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 출발 후 심리 안정 속 낙폭 축소 미 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 및 인플레이션 부담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금리가 상승하자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 출발. 그러나, 연착륙에 대한 기대와 높아진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 종료 가능성에 낙폭을 축소. 특히 삼성전자 감산에 대한 기대로 마이크론을 비롯한 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이는 등 업종 차별화가 진행된 가운데 하락하던 대형 기술주도 낙폭을 축소해 긍정적. 결국 시장은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졌음에도 심리적인 안정 속 반등을 보인 점이 특징(다우 +0.30%, 나스닥 -0.03%, S&P500 +0.10%, 러셀2000 +1.02%)
8
유저 프로필
봄은기다려야온다
@namgyoopark4달 전
06/20 한국 증시: 중국 LPR 금리 인하 기대와 연준 주목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281.17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2원 하락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06% 하락. KOSPI는 소폭 상승 출발 예상. 유럽 증시가 경기 둔화 등을 이유로 차익 매물을 내놓으며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 특히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는 등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점도 부담. 그렇지만, 시진핑 중국 주석과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회담 후 미국과 중국 모두 진전이 있었던 긍정적인 회담이었다고 발표한 점은 긍정적. 이는 향후 미-중 갈등 완화 기대를 높일 수 있기 때문. 여기에 최근 인민은행의 역레포 금리인하에 이어 중국 주요 기관들의 인프라 투자 등 부양정책 발표가 진행된 데 이어 오늘 있을 LPR 금리 결정에서 인하 기대가 높은 점도 우호적. 시장 일각에서는 경기 회복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다는 점에서 LPR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 그러나 일부는 금리 정책 보다 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내용이 발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 결국 중국 정부의 부양 기대가 시장에 반영되고 있음을 의미.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소폭 상승 출발한 후, 중국 LPR 금리 결정 이후 보다 견고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 다만, 오늘부터 연준 위원들을 비롯해 파월 연준의장의 발언 등이 집중되기에 적극적인 움직임보다는 관망세가 좀더 이어질 것으로 전망.
12
2
유저 프로필
퀀트첫걸음
@cswcjt5달 전
뉴욕 마감시황 5/10(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09%)/나스닥(+1.04%)/S&P500(+0.45%) 美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낸 가운데, 혼조세를 기록.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속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1.04% 상승했으며, S&P500지수도 0.45% 상승. 다만,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는 인식 속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다우지수는 0.09% 하락.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모습. 美 노동부가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대비 4.9% 상승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와 전월치인 5.0% 상승을 밑돌았음. 이는 2021년 4월 이후 2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임. 전월대비로는 0.4% 상승해 시장 예상에 부합했음. 다만, 전월의 0.1% 상승보다는 상승 속도가 가팔라졌음.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음식료 가격을 제외한 4월 근원 CPI는 전년동월대비 5.5%, 전월대비 0.4% 상승해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음. 지난해 6월에 9% 근방이던 미국의 CPI가 5% 근방으로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모습. 이에 Fed가 다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크게 증가했으며,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도 커지는 모습.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Fed가 6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8.5%,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1.5%를 기록. 다만, 여전히 Fed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돈다는 점은 경계감을 일으켰음. 부채한도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지속되는 모습.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전일 오후 공화당 소속인 케빈 매카시 하원 의장을 포함한 양당 상/하원 대표를 초청해 부채한도 문제를 논의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짐. 매카시 의장은 "바이든 대통령은 지출 감축 관련 아이디어를 제시하지 않았다"면서 향후 2주간 바이든 대통령과 협상이 있길 기대한다고 언급했으며,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디폴트(채무불이행)는 옵션이 아니다"라는 점을 확실히 했다면서 "디폴트를 피할 수 있다고 절대적으로 확신한다"라고 밝힘. 공화당은 부채한도 상향을 조건으로 정부 지출 삭감을 요구하고 있으며, 바이든 대통령은 조건 없는 부채한도 상향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오는 12일(현지시간) 재차 협상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한편, 美 사법 당국이 은행주에 대한 공매도를 들여다보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일부 외신에 따르면, 법무부가 은행 파산을 촉발한 시장의 변동성과 관련한 공매도 활동을 들여다보고 있으며, 이와 관련 시장 조작 가능성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일각에서는 금융위기 당시처럼 은행주에 대한 공매도를 일시 중단하는 조치를 꺼내 들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음. 다만,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현재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이날 국제유가는 美 원유재고 증가 등에 하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6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15달러(-1.56%) 하락한 72.56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4월 CPI 둔화 속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다우 -30.48(-0.09%) 33,531.33, 나스닥 +126.89(+1.04%) 12,306.44, S&P500 4,137.64(+0.45%), 필라델피아반도체 2,997.51(+1.00%) 뉴욕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최근 美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경기 침체 우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 우려 등이 지속되면서 조정 장세를 보이던 뉴욕증시는 Fed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 반등하는 모습. Fed는 5월 FOMC 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가운데, 성명을 통해 "충분히 제약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달성하기 위해 약간의 추가적인 정책 강화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라는 가이던스를 삭제했음. 이는 추가 긴축 가능성을 언급한 표현을 삭제한 것으로, 이번 금리 인상이 마지막일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한편, 파월 Fed 의장은 연내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는 발언을 이어갔음.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그렇게 빠르게 내려오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라며, "그것은 약간의 시간이 걸리고 이런 환경에서는 전망이 대체로 맞는다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언급. 아울러 "더욱 제약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더 많은 일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해 추가 인상 가능성도 열어뒀음. 일반적으로, 세계증시간 동조화 추세에 따라 시장간 상관성은 항상 존재하며, 뉴욕증시의 등락 및 관련 재료등에 따른 국내증시의 민감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반도체를 포함한 주요 IT 기술주 및 자동차 등 주 수출주들은 뉴욕발 이슈에 따른 연동성이 매우 높음. 뉴욕 상관업종-테마-종목 IT대표주 -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SDI, SK하이닉스, 삼성전기 등 소매 - 신세계,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이마트, 롯데하이마트, 대구백화점 등 자동차 -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등 증권 -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키움증권, 한국금융지주, NH투자증권 등 은행 - KB금융,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기업은행, BNK금융지주 등 정유 - SK이노베이션, S-Oil, GS 등
11
2
유저 프로필
모찬찬
@tomochan6달 전
글로벌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4월 7일)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 서상영(02-3774-1621) 나스닥, 경기 침체 우려 불구 불러드 총재 발언 이후 상승 전환 미 증시는 고용지표 부진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 출발. 그러나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은행 스트레스는 완화되고 있고, 경제는 예상보다 강하다고 주장하자 낙폭 축소하고 결국 상승 전환 성공. 특히 지역은행과 알파벳(+3.78%), MS(+2.55%) 등 일부 기업들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 지수 상승 확대. 다만, 많은 기업들 중심으로는 제한된 등락을 보이는 등 여전히 경기 침체 우려는 지속돼 다우는 보합(다우 +0.01%, 나스닥 +0.76%, S&P500 +0.36%, 러셀2000 +0.13%) 변화요인: ①고용 둔화 ②불러드 총재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