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도 시작하는 N잡

대왕 너겟
요즘 직장에서 퇴근하고도 부업이나 사이드잡을 하는 일명 ‘N잡러’들이 많잖아요. 우리에게만 적용되던 N잡러의 길이 이제는 기업에도 열릴 예정이에요. 그동안 법은 은행이 본업 말고 부업을 하지 못하게 딱 막고 있었는데요. 이제 이 법이 조금 풀리거든요.
은행이 어떤 부업을 할 수 있는데?
앞으로 은행들은 부업으로 알뜰폰 사업을 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는 KB국민은행이 아르바이트처럼 잠깐만 했던 사업인데요. 금융위원회(금융위)에 “계속 해도 괜찮아!”라고 정식으로 승인받았어요.
지금도 할 수 있었다는 거지?
맞아요. KB국민은행은 2019년 4월부터 알뜰폰 사업(=리브엠)을 해오고 있어요. KB국민은행이 “소비자가 딱 원했던 간편하고 저렴한 알뜰폰 서비스, 우리가 한 번 만들어볼게!”라고 금융위에 제안했고, 금융위도 “그러면 한 번 해봐!”라며 임시 허가를 내린 것(=규제샌드박스 특례). 이에 기한을 딱 두고 시작했었는데요. 이제는 정식으로 허락받아 사업을 쭉 할 수 있게 된 거예요.
왜 허락해준 건데?
그동안 KB국민은행이 리브엠을 통해 알뜰폰 시장에 좋은 에너지를 불어넣었다고 인정한 거예요. 이에 본업과 관련 없는 사업을 처음으로 ‘부수업무’로 지정해줬고요. 다른 의미도 있는데요.
- 은행도 스스로 커야지 💪: 은행이 단순히 이자 장사만 한다는 말이 있었잖아요. 그 이유가 법으로 다른 일은 못 하게 막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었는데요. 이제 은행이 비금융 산업에도 손을 뻗을 수 있게 규제를 살짝 풀어줘서 스스로 경쟁력을 갖추게 하려는 거예요.
- 통신사도 경쟁해야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동통신 3사가 오랫동안 통신업을 꽉 잡고 있어 시장 분위기가 느슨해졌고, 이에 소비자가 불편을 겪고 있다고 봤는데요. 은행처럼 능력이 짱짱한 경쟁자가 등장하면, 요금제 경쟁이 일어나 소비자는 통신비를 아끼는 등 혜택이 늘어날 거라고 기대해요.
주변 반응은 어때?
- 우리도 해볼까? 👀: 다른 은행들도 알뜰폰 사업에 뛰어들 수 있게 됐어요. 벌써 신한은행·하나은행·NH농협은행이 알뜰폰 사업자와 손을 잡고 요금제를 내놨거나 검토하고 있어요. 이 과정에서 새로운 서비스나 독특한 마케팅이 등장할지도 모르고요.
- 경쟁이 안 돼 😥: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은 덜덜 떨고 있어요. 탄탄한 고객과 빵빵한 자금을 가진 은행이 알뜰폰 사업에 뛰어들면 고객을 다 뺏길 것을 걱정해요. 이들이 가격을 확 낮춘 요금제를 내면 영세한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은 감당할 능력이 없다고.
언제부터 시작하는데?
KB국민은행이 알뜰폰 사업을 부수업무로 신고하면 → 금융위는 법을 고치고 “이제 시작이야!”라고 총을 땅 쏴요. 그러면 다른 은행들도 자유롭게 알뜰폰 사업을 시작할 수 있어요.
+ 은행: 따르릉~ 통신업 돈이 돼?
KB국민은행도 아직 100억 원대 적자를 기록할 만큼, 통신업이 당장 돈을 벌 수 있는 사업은 아니에요. 그런데도 은행들이 알뜰폰 사업을 하려는 건 다른 이점이 있기 때문. 통신 요금에 카드·금융상품을 딱 붙여 팔 수도 있고요. 알뜰폰에 가입한 사람들의 데이터를 모으면 신용평가 등 은행의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이 돼요. 신규 고객을 모으기 위한 일종의 마케팅 창구인 셈이에요.
📌 이슈와 콕 붙어 있는 종목
- KB금융: 은행의 N잡에서 가장 앞장서 있는 국민은행이에요. 이미 '리브엠'이라는 알뜰폰 사업을 성공적으로 하고 있고요.
-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국민은행에 이어 알뜰폰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시장을 꽉 잡고 있는 삼대장이에요. 단단히 긴장을 하고 있다는 말이 나와요.
- 아이즈비전: 아이즈모바일이라는 알뜰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한입에 쏘옥~ 너겟
*제목을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어요.
적금도 한 달부터 💰
요즘 사람들 사이에서는 만기를 최소 한 달부터 설정할 수 있는 ‘초단기 적금’이 인기예요. 경제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시기에 짧은 기간만 돈을 맡기면 되고요. 금리도 5~6%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 GET 📌: 실제로 받는 이자는 많지 않아요. 한 달에 넣을 수 있는 금액이 적기 때문. 최고금리가 6%인 모 1개월짜리 적금은 한도가 30만 원인데요. 이를 꽉 채워서 넣어도 한 달 뒤 받는 이자는 세금을 떼고 1,269원이에요.
에코프로 다음은 포스코? 🔥
포스코 그룹의 주가가 엄청나게 올랐어요. 계열사마다 올해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327%까지 주가가 상승했다고.
- GET 📌: 포스코 그룹이 철강에서 → 2차 전지로 옷을 싹 갈아입었기 때문. 계열사들이 2차 전지 관련 광물 자원(예: 리튬, 니켈)과 배터리 소재(예: 양극재) 사업에 투자를 잔뜩 하고 있거든요. 앞으로 본업인 철강의 분위기도 좋아질 거라는 말이 나오고요.
유류세 인하 조치 4개월 더 ☝
기름값에 붙어 있는 세금(=유류세)을 조금만 내게 해주는 조치가 4개월 늘어나요. 8월 31일까지 유류세를 휘발유에서는 25%, 경유에서는 37% 덜 내는 것.
- GET 📌: 경제가 차갑게 식으면서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팍팍해졌기 때문이에요. 금전적 부담이 더 커지는 걸 막으려는 거예요
삼성-구글, 헤어질 결심? ✋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기본 검색 엔진을 구글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Bing)으로 바꾸려 한다는 말이 나와요. 요즘 빙이 챗GPT를 등에 업고 검색 능력을 많이 업그레이드했거든요.
- GET 📌: 구글은 비상이 걸렸어요. 삼성전자와 관련된 매출만 매년 30억 달러(약 4조 원)에 달하거든요.
AI 시장에 아마존의 등장이라 🤖
요즘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 잘 나가는 빅테크 기업은 다들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데요. 여기에 아마존도 합류했어요. 클라우드 서비스 ‘베드록’을 공개한 것.
- GET 📌: 다른 생성형 AI 서비스가 개인 고객을 노린 거라면, 베드록은 기업 고객을 겨냥했어요. 서비스 안에 엄청난 데이터를 처리하고 학습할 수 있는 여러 거대 언어 모델(=LLM)을 제공해서, 기업이 각자의 목적에 맞게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거나 개발할 수 있게 했다고.
느낌이 와, 공매도 느낌 📉
공매도*를 하려면 금융회사에서 주식을 빌리는 ‘대차거래’를 먼저 거쳐야 하는데요. 지난 13일 기준 대차거래 잔고 금액이 80조 원을 넘었어요. 잔고가 이렇게 두둑해진 건 2021년 11월 이후 처음.
- GET 📌: 그만큼 지금 공매도를 하려는 사람이 많고 = 주식 시장이 과하게 뜨거워 곧 떨어질 거라고 보는 사람이 많은 것. 최근 코스닥 지수가 쭉쭉 올랐지만, 그렇다고 성급하게 투자해서는 안 되는 이유예요.
*주식을 빌려서 팔았다가 주가가 내려가면 다시 사서 이익을 남기는 방법이에요.
🥔 너가 GET 하면 좋은 단어
⭐ ETP(상장지수상품):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금융상품을 싹 모아 부르는 말인데요. ETP의 종류로는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증권)이 있어요.
👉 이렇게 활용해요: 베트남‥인도네시아·멕시코 등 신흥국 증시가 쭉쭉 오르고 있어요. 이들 국가 증시에 투자한 ETP(상장지수상품)의 수익률은 두 자릿수에 달할 정도. 이에 신흥국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고 있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