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발행자 프로필 이미지
너겟
23.05.22

전기·가스요금 인상 잘 이해하고 내 통장 지키기

뉴스레터 썸네일 이미지

대왕 너겟


📌 너가 GET 해야 하는 이유

전기랑 가스 안 쓰는 집은 없잖아요. 그만큼 통장 사정과 직결된 소식을 가져왔어요.



밥값도 기름값도 모두 오르는 시대, 슬픈 소식이 하나 더 찾아왔어요. 정부가 2분기 전기·가스요금을 올렸거든요 📈. 그렇다고 한숨 푹푹 쉬지는 말고요. 왜 이렇게 요금이 쭉쭉 올라가는 건지, 내 통장 최대한 지킬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이지원님이 어려운 이 상황을 잘 이해하고 돌파할 수 있도록 너겟이 꿀정보만 가져왔어요.


얼마나 올랐어? 😮 💨

전기요금은 kWh(킬로와트시)당 8원(146.6원→154.6원), 가스요금은 MJ(메가줄)당 1.04원(19.69원→20.73원) 올랐어요. 이렇게 보면 무슨 말인지 잘 안 와닿죠? 가구 기준으로 어떻게 달라질지 계산해보면요*.


  • 1인 가구라면: 월 약 3,197원 더 내야 해요(전기 2,090원 + 가스 1,107원).
  • 4인 가구라면: 월 약 7,450원 더 내야 해요(전기 3,020원 + 가스 4,430원).

*월평균 사용량을 기준으로 잡았어요.


이번이 처음 아니지?

맞아요. 둘 다 지난해부터 쭉쭉 올려 왔어요. 전기요금은 지난해 7월부터 이번까지 총 4번 올랐고요. 가스요금은 지난해만 4차례 올라 약 38% 뛰었는데, 이 여파로 시민들의 겨울철 난방비 부담이 확 커지기도 했어요. 이에 올해 1분기에는 요금 인상을 잠시 멈췄다가, 이번에 또다시 올린 거고요.


왜 자꾸 오르는 건데?

지난해부터 에너지 가격이 엄청 크게 뛰었거든요. 이에 전기와 가스를 만드는 비용도 엄청 커졌는데요. 이렇게 확 오른 비용을 시민들이 그대로 내기는 어렵잖아요. 그래서 일단 에너지 담당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한전)·한국가스공사(가스공사)가 이를 부담했고요. 이후 전기·가스요금을 조금씩 올리면서 밀린 에너지 가격을 차츰 반영하고 있는 거예요. 최근 에너지 가격은 다시 잠잠해지고 있는 분위기인데도 그동안 쌓인 비용을 해결하려면 요금을 더 올려야 한대요.


앞으로도? 상황이 심각해?

한전과 가스공사가 이 기간을 버티며 너무 큰 비용을 쌓아뒀어요. 자세히 알아보면요.


  • 한전: 그간 손해를 감수하며 전기를 싸게 팔아온 한전은 2021년부터 누적 적자가 약 45조 원에 달해요. 한전은 이를 해결하려면 올해 전기요금 kWh당 51.6원 올려야 한다고 했는데요. 정부가 2분기까지 올린 금액은 약 21.1원. 한전 목표를 반도 못 채웠어요.
  • 가스공사: 미수금*이 2021년 1조 8천억 원에서 올해 1분기 11조 6천억 원으로 확 불어났어요. 가스공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가스요금을 MJ당 10.4원 올리자고 했는데요. 이제 약 1원 올랐어요. 목표의 10%만 이룬 셈.

*덜 거두어들인 돈을 말해요. 천연가스 수입 금액 중 가스 요금으로 받지 못한 금액이죠.


내 통장은 어떡해? 😥

올여름을 조심해야 해요. 에어컨 등 냉방기기를 많이 쓰면 전기요금이 확 늘어날 수 있기 때문. 이밖에 전기요금을 아끼기 위한 정보 몇 가지를 소개하자면요.


  • 에너지 캐시백 노려보기: 가정에서 전기를 아끼면 돈을 돌려주는 제도인 ‘에너지 캐시백’을 활용해 봐요. 7월부터 1️⃣ 2021~2022년 대비 전기 사용량을 3% 이상 줄이고 2️⃣ 같은 지역 참여자 평균보다 높은 절감률을 달성하면, 아낀 전기 1kWh당 30원을 돌려줘요. 절감률이 5% 이상이면 달성 수준에 따라 추가로 1kWh당 30~70원을 돌려주고요. 최대 1kWh당 100원을 아낄 수 있는 것.
  • 한전 앱으로 확인하기: 오는 31일부터는 ‘한전:ON’ 앱을 통해 요금을 예측할 수 있어요. 전기는 일정량 넘게 쓰면 쓴 것에 추가 요금(=누진제)을 내야 하는데요. 사전에 이를 알고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 
  • 취약계층은 주목: 취약계층*에게는 내년 3월까지 오른 요금을 적용하지 않아요. 월 313kWh까지는 지난해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어요.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3자녀 이상 가구 등이에요.



📌 이슈와 콕 붙어 있는 종목

전기·가스요금과 밀접하게 관련된 종목을 몇 가지 알아보면요.



  • 한국전력: 우리나라에서 전기를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기업이에요. 당장 엄청난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전기요금이 오른 만큼 매출도 늘어나는 수혜를 입는 기업 1순위예요.
  • 한전KPS·한전산업: 한전과 사이가 친한 기업이에요. 한전에 좋은 소식이 있으면 덩달아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쌍둥이 같은 존재라고.
  • 한국가스공사·서울가스·삼천리: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기업이라 '전기요금 인상 → 한전'처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어요. 가스요금이 오른 만큼 그동안 쌓인 적자를 줄일 수 있게 된 거죠.
  • 두산에너빌리티·오르비텍: 원자력 산업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인데요. 에너지라는 공통점으로 묶여 전기요금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투자자들의 관심을 함께 받아요.



한입 너겟


헉 소리 나는 삼겹살 가격 🥩

요즘 돼지고기 가격이 훌쩍 올랐어요. 머지않아 삼겹살 1인분 가격이 2만 원을 넘어설 수도 있다는 얘기도 나와요.

  • GET 📌: 돼지고기를 찾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이에요.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모임이나 나들이가 많아졌거든요. 돼지고기는 매년 봄에서 여름까지 가격이 오르는 게 루틴! 여기에 돼지를 기르는 데 들어가는 비용도 증가했어요.


또 멈춘 카카오(페이) 😟

그제(15일) 카카오페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어요. 서비스가 멈춘 시간이 점심시간이라 많은 사람이 제때 밥값이나 커피값을 결제하지 못하는 불편을 겪었대요. 

  • GET 📌: 카카오는 지난 10월 카카오 계열의 서비스가 오랜 시간 멈춘 뒤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았는데요. 이후에도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게 벌써 4번째예요.


비대면 진료 이럴 땐 가능해요 🩺

정부가 다음 달 1일부터 비대면 진료를 일부 상황에서 시범적으로 시행하기로 했어요. 1️⃣동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2️⃣다시 진찰받는(=재진) 환자를 진료할 때. 단, 병원에 가기 어려운 감염병 환자·노인·장애인 등은 처음 진찰받을 때(=초진)부터 비대면으로 진료받을 수 있어요.

  • GET 📌: 정부는 비대면으로 약을 배송하는 건 허용하지 않았어요. 환자나 대리인이 지정한 약국에서 직접 수령해야 한대요.


5월인데 벌써 여름맞이 ☀️

아직 5월인데, 벌써 여름 가전이나 샌들 같은 여름 상품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어요. 최근 전국에 때 이른 더위가 찾아왔기 때문이에요.

  • GET 📌: 이번 주 우리나라는 올해 들어 가장 더운 날씨를 기록했어요. 그제(17일) 강원도나 경상북도 일부 지역은 낮 최고기온이 약 33도로, 사실상 한여름이었어요. 


수상한 식품 업계의 1분기 실적 👀

올해 1분기 몇몇 식품 업체들이 좋은 실적을 기록했어요. 대표적으로 농심의 1분기 영업이익은 638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약 86% 늘어났어요.

  • GET 📌: 사람들은 눈을 째려보고 있어요. 식품 업계는 지난해부터 밀가루나 콩 등 원재룟값이 올랐다는 이유로 상품 가격을 올렸는데요. 최근 원재룟값이 다시 뚝 떨어졌는데, 상품 가격은 그대로 유지했어요. 이 틈을 이용해 수익을 크게 냈다는 것. 몇몇 소비자들은 다시 상품 가격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해요.




다른 투자자들이 다음으로 본 글